- 제부도서 찍은 오리온 자리입니다. [7]매바위가 네개가 있는데 그중 땅에서 가장 가까운 쪽에 있는 앱니다. 빅센 VX-1 카메라 비비타 28mm F2.0 ==> 2.8 후지 프로비아 400F ==> 3200 40초 고정촬영 * 김정현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6-01-03 21:04)이권재2004.12.26추천 갤러리
- M42 [4]데이터: TMB 152 / F6.7 / NJP Temma II / STV autoguide / Cannon 20D 직초점 / ISO 800 / 75sec,90sec,150sec,300sec,600sec 노출 이미지 프로세싱: 1. 각 사진에 대해 같은 노출값을 가지는 dark frame을 subtraction 2. 캐논 20D mirror box에 의해 나타나는 green band를 RGB Channel에서 각각 조정하여 제거 3. Jerry Lodriguss의 "Real Unsharp masking" 테크닉을 이용 image sharpening 4. Photosharp Unsharp mask 한 번 적용 5. Picture Window에서 각각의 이미지를 Aligning 6. Jerry Lodriguss의 "Combining 2 Different Exposure" 테크닉으로 노출값이 적은 이미지와 그 다음 이미지를 합성한 후 다시 다음 노출값을 가지는 이미지와 합성하는 식으로 하여 75sec부터 600sec 이미지까지 합성 7. Final Tuning : Brightness와 Level만 조정 * 김정현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6-01-03 21:04)김형근2004.12.25추천 갤러리
- 오리온 [23]^^ 11월 12일 경기도 연천 nikon fm2 f/2.8 kodak e200 5~10초 간격 스텝포커스 설명 추가 합니다. 촛점이 점차 어긋나면서 성상이 부어 올라 중첩되어 고정촬영인데도 약 1분정도의 노출을 주어도 흐른 티는 나지 않고 오히려 더 어두운 별 까지 보이게 되더군요. 거기에 일반 고정촬영에 비해 별의 색깔도 잘 나타나 보여 간혹 이런 시도를 한답니다. 칭찬 감사합니다만 역시 별자리의 왕자 오리온 이기 때문에 보기 좋게 나온듯 합니다~^^ P.S:의정부에서 거의 매시간 40분에 출발하는 신탄리행 기차를 타신 후 약 한시간 정도 걸리는 연천 역에서 내려 대광리행 버스를 타고 가다 동막골 유원지 에서 내리시면 됩니다. 대광리 행 버스 막차가 역 앞에서 19시 이전에 운행 되는 걸로 압니다. 일찍 준비하셔야 겠네요^^ 아참, 그리고 연천지역은 근래 남쪽 광해가 많이 심해졌습니다. 북쪽은 아직 볼만합니다. * 김정현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6-01-03 21:04)최부갑2004.12.16추천 갤러리
- 목성(12.13)... [2]안시로 보이던것과 거의 비슷한 모습입니다.(90퍼센트 정도?) 대기의 일렁임이 심해서 그다지 좋은 상은 아닙니다. 원 이미지에서 확대 했습니다. 2004.12.13 07:05 / VIXEN SC235L / VIXEN GP / PENTAX XP8mm / Philips ToUcam Pro / 노출 1/25초 X 1348 frame김정식2004.12.14추천 갤러리
- 두번째 일주사진 [7]가운데의 괘적은 비행기 괘적이구요... 자동차의 불빛으로 사진 밑의 부분이 좀 그렇네요~ ================================================ 2003년 9월초 일본 나가노현 신주 온타케산 주차장 (해발1500m) 펜탁스 MX, 24mm 광각렌즈, 후지 400, f4, 노출시간은 잘 모르겠어요~ 밑의 사진은 코닥 T max 400-흑백 * 김정현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6-01-03 21:04)김영대2004.12.11추천 갤러리
- 11월27일 만월-1 [6]27일 맑은 밤하늘을 환하게 비추는 달이 예뻐서 정신없이 찍었습니다. * 김정현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6-01-03 21:04)김주성2004.11.28추천 갤러리
- 오리온일주 두번째 [3]2004. 11. 20 태기산근방 Yashica fx-3, ML50mm 2.0 E100vsf5.6, 20~30분 노출 세번째 시도입니다. ^^ * 김정현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6-01-03 21:04)정재열2004.11.23추천 갤러리
- 월령 7.6일의 달 [3]대기가 불안정한지 가장 높게 떠있는데도 불구하고 초점이 왔다갔다 이글이글... 베란다 문 다열어놓고 1시간 대기시켰는데도 불구하고... 베란다의 한계인건가요... 찍다가 춥고 신경질나서 도중에 그냥 나와버렸습니다.. 그나마 첫번째사진은 지금까지 제 사진중 가장 초점이 잘맞고 선명한 것 같아 기분이 좋네요... 나머지는 보너스? -,.-; 오늘은 날씨가 좋았지만 누님께서 디카를 가지고 나가시는 바람에.. 흑흑 ※ 한종진님 쿨픽스3100가지고 사진찍으실때 어떻게 설정하고 찍으세요? 무진장 궁금하네요 스포츠로 찍으면 화질이 너무 후지고... 노멀모드로 찍으면 마구 흔들려서.. -,.-; * 김정현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6-01-03 21:04)고경준2004.11.20추천 갤러리
- 10월의 달 [2]2004년 10월 다카하시 78mm 굴절, 빅센 GP적도의, PL20mm 캐논 IXY ISO :자동, 조리개 값 : F2.8, 셔터속도 : 1/80 브라이트, 콘트라스트, 색상, 사이즈 조정 =================================================== 우연이 겹친 아름다움...그러나 촬영 기술부족에 따른 안타까움 * 김정현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6-01-03 21:01)김영대2004.11.07추천 갤러리
- 북아메리카 성운 [9]예전에 찍었던 사진인데, 게시판에 참고 자료로 쓰기 위해 올립니다. 허접하지만 봐 주세요. 2000년 9월 4일, 횡성 태기산 펜탁스 MX, 펜탁스 A 200mm F4 렌즈 (at F4) 펜탁스 MS-3N 노터치 가이드 노출은 기억나지 않네요. * 김정현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6-01-03 21:01)이준희2004.11.01추천 갤러리
- 새벽단상 [14]eos1 EF50mm 1.0L RDP3(+3) http://www.cyworld.com/telescope1 http://neostarlove.cyworld.com정병훈2004.10.20추천 갤러리
- 소백산 은하수.. [23]다중촬영 eos1 17mm(가이드)+50mm RDP3(+3) http://www.cyworld.com/telescope1 http://neostarlove.cyworld.com정병훈2004.10.20추천 갤러리
- 오랜만에 찍은 달~ [2]방금 찍어온 따끈따끈한 달입니다. 요새 구름때문에 하늘도 못보고 달사진 찍고싶어 굶주려왔는데 문득 베란다를 들여다보니 뜻하지 않게 달이 보이더군요. 기분좋은 마음으로 열심히 관측해준 후 사진좀 남겼습니다. 근데 고도가 낮은데다가 냉각이 전혀 안된 상태라 달이 마구 이글거리더니 결국 맘에 드는게 하나밖에... -,.-; 그동안 벼르고있던 달사진을 찍어보니 전보다는 잘 나온것 같습니다. 가장 맘에드는 사진이에요... 위에는 포토샵으로 레벨조정, 언샵마스크 썼습니다.. 아래는 원본이구요... 별로 자신은 없네요 -,.- * 김정현님에 의해서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06-01-03 21:00)고경준2004.10.19추천 갤러리
- 부분일식 [9]오늘(2004.10.14 11시 경)에 부분일식이 있었습니다. 디지털카메라로 어포컬 촬영한 사진을 올려봅니다. 망원경: 빅센 굴절 아크로매트 4인치+태양필터 아이피스: 프뢰슬 40mm 카메라: 캐논 A75, 자동, 접사모드로 촬영 왼쪽 약간 아래의 어두운 부분이 흑점입니다. 흑점이 하나 더 있었는데 너무 작았고 초점이 잘 맞지 않아서 잡히지 않았네요.오영록2004.10.14추천 갤러리
- 2000년 잎갈나무 일주사진 [3]언제 찍었는지는 연도밖에 기억이 안납니다. 계방산에서 찍은 잎갈나무 일주사진입니다. Hasselblad, Zeiss 80mm Planar김정현2004.10.13추천 갤러리